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기업의 ‘이익’ 용어, 뭐가 다를까? – 매출부터 당기순이익까지 완전정리

by stormmaker 2025. 4. 4.
반응형

 

 

"이익은 하나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얼마 벌었다"는 말을 할 때, 우리는 흔히 '매출' 혹은 '순이익' 같은 단어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기업 회계에서는 단순히 '벌었다'는 말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며, 이를 정확히 구분하는 것은 투자자, 주주, 경영자 모두에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기업의 수익을 나타내는 주요 용어들에 대해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핵심 개념: 수익과 이익의 차이부터 시작합니다

 

1) 매출(매출액, Revenue, Sales)

  • 의미: 상품이나 서비스를 고객에게 팔고 벌어들인 총 금액입니다.
  • 예시: A회사가 빵 10개를 개당 1만 원에 팔았다면 매출은 10만 원입니다.
  • 중요 포인트: 아직 ‘비용’을 뺀 상태가 아니므로 실제로 남는 돈과는 다릅니다.

2) 영업이익(Operating Profit)

  • 의미: 매출에서 제품 생산·판매 등 **본업에 드는 비용(원가, 인건비 등)**을 제외한 이익입니다.
  • 계산식:
    영업이익 = 매출 - 매출원가 - 판관비(판매비와 관리비)
  • 중요 포인트: 기업의 핵심 영업활동이 얼마나 효율적인지를 보여줍니다.

3) 순이익(Net Profit)

  • 의미: 영업이익에서 이자, 세금, 법인세, 기타 수익과 비용까지 모두 포함해 최종적으로 남는 금액입니다.
  • 중요 포인트: 말 그대로 ‘순수하게 남은 이익’입니다.

4) 당기순이익(Current Net Income)

  • 의미: 해당 회계기간(보통 1년) 동안 벌어들인 최종 이익입니다.
  • = 순이익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 보고서 표기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5) 당기이익

  • 의미: 일부 기업에서는 당기순이익을 줄여서 ‘당기이익’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 실제로는 ‘당기순이익’과 큰 차이 없음.

 

2. 이익 용어들의 관계 구조

 

다음은 각 용어가 서로 어떤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도식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매출]
  ↓ (–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 (– 판매비와관리비)
[영업이익]
  ↓ (± 영업외수익 및 비용, – 이자, – 세금 등)
[법인세차감전순이익]
  ↓ (– 법인세 등)
[당기순이익]

 

# 이 구조를 이해하면 ‘회계적 이익’이 단순히 벌어들인 매출이 아니라 복잡한 계산을 거쳐 나온 실제 수익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어떤 이익이 중요한가?

  • 투자자 관점:
    기업의 본업 실력을 보려면 ‘영업이익’을, 실제 수익성을 보려면 ‘당기순이익’을 봐야 합니다.
  • 경영자 관점:
    비용 효율성과 사업구조를 점검할 때는 각 단계별 이익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 회계 공부/재무제표 분석을 시작하는 사람에게는 이 개념들이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이제 더 이상 뉴스에서 “A기업 당기순이익 급증”이라는 말이 나오면 헷갈리지 않으시겠죠?


# 폴리테크 인사이드에서 계속됩니다!

반응형